본문 바로가기
드라마 영화 리뷰

부모급여 육아휴직 중복 지급 소득조건 알아보기

by 이코노미미즈 2022. 12. 13.

2023년 새로 도입되는 부모급여 육아휴직 중복 지급 여부 및 소득조건을 알아보겠습니다.

2023년 1월부터 '부모급여' 양육수당이 지급됩니다. 오늘 발표된 제 4차 중장기 보육 기본계획에 따르면 기존 영아 수당과 통합하여 지급되네요. 출생후 2년간 지원되는 부모급여는 2023년 만0세기준으로 70만원, 2024년에는 만 0세 아동에게 100만원을 지원해준다는 계획입니다. 만1세는 2023년에 50만원(기관보육)을 지급하나 가정보육을 하는 만 1세는 35만원만 지급됩니다. 2024년에 만 1세에는 월 50만원을 가정보육과 기관보육에 관계없이 일괄 지급할 예정이네요.

 

출처 unsflash

부모급여 육아휴직 중복 지급 가능 여부

부모급여는 육아 휴직자에게도 지급될 전망입니다. 보건복지부의 중앙 보육정책위원회에 따르면 가정양육 및 시설이용 자녀에게도 지급되기 때문에 육아휴직자에게도 지급된다고 볼 수 있습니다.

 

다만 정확한 가이드라인은 국회 본예산이 통과가 되어야 나올 것 같네요. 

 

출처 unsflash

부모급여 금액 알아보기

2023년 1~12월에 만 0세에 해당하는 아이들은 월 70만원을 받아 갈 예정이고 가정양육 및 시설이용 시 동일하게 70만원 입니다. 쌍둥이 부모급여는 2배로 받아간다고 하는데요, 아마 아이 1인당 지원이기 때문에 쌍둥이는 2배로 부모급여를 받을 수 있을 것 같습니다.

 

2023년 1~12월 만 1세에 해당하는 아동들은 부모급여로 50만원을 받을 예정입니다. 다만 가정 보육

을 하는 만 1세는 35만원만 지급하고 어린이집을 이용하는 아이들은 월 50만원으로 예상되네요. 실질적으로 보육비가 포함되어 있는 금액이기 때문에 크게 달라졌다고 보기는 어려울것 같네요.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 

 

2024년 1~12월에는 만 0세 아동 부모수당은 일괄 100만원, 만 1세 아동 부모수당은 월 50만원을 받습니다. 2023년보다 금액이 증액되었네요. 

 

 

부모급여 소득조건 제한 고소득자

부모급여는 기존에 지급되는 영아 수당의 확장판 버전이므로, 부모의 소득과는 전혀 상관이 없을 것 이라고 예측됩니다. 기존에 지급되던 영아 수당은 나이 조건만 맞으면 누구나 다 받아갈 수 있었기 때문이죠.

 

 

이상으로 2023년부터 도입되는 부모급여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. 저출생 문제가 심각한 만큼 정부의 지원도 조금씩 확대되어 가고 있는 것으로 보이는데요, 앞으로도 더 많은 정부 정책을 기대해 봅니다.